[av_textblock textblock_styling_align=” textblock_styling=” textblock_styling_gap=” textblock_styling_mobile=” size=” av-desktop-font-size=” av-medium-font-size=” av-small-font-size=” av-mini-font-size=” font_color=” color=” id=” custom_class=” template_class=” av_uid=’av-kgbmi2fk’ sc_version=’1.0′ admin_preview_bg=”]

오늘 목회 칼럼은 지난 10월 31일 새벽에 전했던 말씀인 창세기 41:46-57의 본문의 내용을 일부 요약해서 옮깁니다.
오늘 본문에서 우리는 역사의 중심에 요셉을 세우시는 하나님의 계획과 그 일을 충성되게 감당하는 그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차디찬 감옥의 고통과 억압에서 보냈던 요셉은 기회를 얻어 바로의 꿈을 해석하게 됐고, 그 방안까지 왕에게 조언 한 후, 왕은 그 일을 맡을 적임자로 왕 다음의 권한을 가진 총리로 요셉을 세우게 됩니다.
‘이 때 요셉의 나이가30세’.
10대에 애굽의 노예로 팔려 온갖 수모와 모함, 고통을 겪고 일약 총리가 될 때까지 그의 20대는 고난의 눈물과 떡을 먹어야 했던 시기였죠.
이런 그가 30세에 총리가 된 후에 한 일을 보십시오. 46절에, “요셉이 애굽 왕 바로 앞에 설 때에 삼십 세라 그가 바로 앞을 떠나 애굽 온 땅을 순찰하니” 그는 직분을 맡은 후, 바로 앞을 떠나 애굽을 순찰했다고 합니다. 이는 요셉이 단 한 순간도 지체치 않고 자신이 맡은 일을 감당했다는 의미를 보여주죠. 이런 그의 결단을 보면, 오늘 우리 또한 맡은 일을 이렇게 충성되게 감당하는가 돌아보게 됩니다.
충성은 맡은 일을 마음을 다해 감당하는 것 뿐 아니라, 그 맡은 일에 대한 지속적인 헌신을 의미합니다(고전 4:2). 충성은 끝까지 변치 않는 마음입니다.
마태복음 24:45~46에 보면, 주님도 마지막 때의 충성된 종에 대해 말씀하셨는데요.
“45 충성되고 지혜 있는 종이 되어 주인에게 그 집 사람들을 맡아 때를 따라 양식을 나눠 줄 자가 누구냐 46 주인이 올 때에 그 종이 이렇게 하는 것을 보면 그 종이 복이 있으리로다” 여기 주님이 말씀하신 충성되고 지혜 있는 종은 때를 따라 양식을 나눠 주는 자라 하시죠. 주님은 마지막 때에 이런 충성된 일꾼을 찾으시고, 그는 복이 있다 하십니다.
여러분, 때를 따라 양식을 나눠 주기 위해서는 늘 끊임없는 헌신과 충성을 말합니다. 오늘은 열심히 봉사했지만, 내일은 대충한다면, 이런 태도는 주님이 기뻐하지 않습니다. 한 해의 농사를 짓고 풍성한 양식을 얻기 위해서는 씨를 뿌리고, 양식을 거둘 때까지 지속적인 헌신이 있어야 하듯, 주님은 매일 매일의 삶에 충성된 일꾼을 찾으십니다. 이런 충성됨이 우리 안에 있으신가요?
또한 그는 온의 제사장 보디베라의 딸 아스낫을 통해 두 자녀를 낳는데요. 첫째는 므낫세, 둘째는 에브라임입니다. 므낫세의 뜻은 하나님이 내 모든 고난과 내 아버지의 온 집 일을 잊어버리게 하셨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에브라임의 뜻은 하나님이 나를 내가 수고한 땅에서 번성하게 하셨다는 뜻이죠.
여러분, 여기 이 두 아들의 이름에서 우리가 생각해야 될 메시지가 있죠.
그것은 그가 애굽에서 왕 다음으로 최고의 권력자가 되었지만, 하나님이 그를 돌아보셨다는 마음을 잊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우리 인생 또한 이렇게 어떤 형편에도 하나님이 우리를 인도하신다는 사실과,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정체성을 잊지 않고 있는가 돌아봐야 합니다. 어떤 형편에도 하나님은 우리를 결코 떠나지 않으시며, 우리와 함께 하시고, 인도하시는 분이십니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가 주님을 잊고 지낸다는 것이죠. 어느 정도 삶이 안정되고 윤택해지면, 그 윤택함과 안정이 마치 내가 이룬 것처럼 생각하는 경우들이 많죠. 요셉의 경우, 그가 최고 권력자로서 누리는 안정과 윤택함을 경험할 때, 그 또한 편안함에 안주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요셉은 두 자녀의 이름을 통해서 알 수 있듯, 그는 여전히 하나님이 인도하신다는 믿음을 지키고, 하나님나라의 백성이라는 정체성을 지켰습니다.
“이렇게 우리는 하나님 나라의 성도라는 당당함과 정체성을 갖고 있는가 생각해 보십시오.”
베델믿음지기 서성봉목사 드림